IT/네트워크 / / 2025. 3. 30. 08:26

[juniper switch] 주니퍼 스위치 vlan 설정 및 생성 방법

반응형

주니퍼 스위치 vlan 생성 및 설정 방법을 다음과 같이 순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.

 

주니퍼 스위치 접속

root@:RE:0% 
root@:RE:0% cli
{master:0}
root> configure 
Entering configuration mode

{master:0}[edit]
root#

초기 ID는 root 이며, 패스워드는 없습니다. 만약 설정 되어있으시면 머나먼 기억속에서 찾으시거나 리커버리 시켜야 합니다.

 

VLAN 생성

{master:0}[edit]
root# set vlans test vlan-id 10

test 라고 해둔부분은 이름입니다 예시로 저는 test라 했고 vlan id 는 10으로 설정 하였습니다.

대부분은 vlan id와 이름을 동일하게 하더라고요 안 헷갈리게 하기 위해서요

 

포트에 VLAN 할당

root# set interfaces ge-0/0/1 unit 0 family ethernet-switch vlan members test

위 예시는 ge-0/0/1 포트에 test vlan을 할당 하는 방법입니다. 포트에 맞게 응용하시면 됩니다.

 

vlan에 포트를 할당하는

root# set vlans test interface ge-0/0/1

이러한 방식도 있습니다. 구성이나 상황에 맞게 사용하시면 됩니다.

 

vlan에 포트를 할당하는 방법으로 설정 하시면 sh vlans 치셨을때

root# show vlans                            
test {
    vlan-id 10;
    interface {
        ge-0/0/1.0;
    }
}

위와 같이 확인 가능 합니다.

 

VLAN 인터페이스 IP 할당

root# set interfaces vlan unit 10 family inet address 192.168.0.1/24

vlans 10에 ip 주소 192.168.0.1/24 를 할당하였습니다.

 

저장

root# commit

저장하기 필수입니다.


기본적인 방법으로 설명드렸습니다. 여기서 acl을 추가하시기 위해서는 아래 방법으로 관리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.

set vlans test vlan-id 10
set vlans test l3-interface.irb.1
set interfaces irb unit 1 family inet address 192.168.0.1/24

 

반응형
  • 네이버 블로그 공유
  • 네이버 밴드 공유
  • 페이스북 공유
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